매트릭스 세계관 그리고 장자의 호접몽

생각하는 글|2021. 7. 8. 00:07
반응형

영화 매트릭스(Matrix) 세계관과 장자의 호접몽. 이 둘은 다른 이야기지만 같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2천 년대를 열며 전 세계적인 흥행을 기록한 매트릭스. 그 광대한 세계관으로 지금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매트릭스 세계관 그리고 장자의 호접몽으로 우리가 사는 세계를 이해해 보자.

 

 

Matrix
매트릭스 빨간약 파란약

 

매트릭스(Matrix) 세계관

영화 매트릭스는 기발한 상상력으로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가상의 세계이고 우리는 주입된 생각을 실제라 믿고 사는 꿈속의 인간들일뿐이라는 가설. 얼마나 충격적인가?

 

우리는 지금 자신이 살고 있는 세상이 실재하는 세상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지금 내 손에 들려 있는 스마트 폰은 분명 존재하는 것이다. 지금 내 입 안으로 들어가는 고기는 분명 내 입 안에서 씹히고 있다. 그 육즙이 내 혀의 미각을 자극하고 나의 뇌는 만족을 느끼고 있다.

 

이런 것은 분명 실재하는 경험이다. 내가 턱을 괴고 있는 책상도 분명 존재하고 있고 내가 타자를 치고 있는 이 노트북도 분명 무게와 경도를 지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모든 것이 실은 허상이고 살재라고 생각하는 꿈에 지나지 않는다니. 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이러한 매트릭스 세계관은 당시 전세계 영화팬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호접몽. 나비인가 인간인가?

여기서 장자의 호접몽이 떠오른다. 장자는 꿈속에서 자신이 나비가 되어 날아다니는 꿈을 꾸었다. 깨고 보니 꿈인데 너무나 생생해서 꿈속에서 자신이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꿈속에서 인간이 되어 있는 것인지 분간이 되지 않았다. 자신이 인간인지 나비인지 혼동이 되었던 것이다.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와도 같다. 동굴에 갇혀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에 의한 그림자가 진짜 모습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사람들. 매트릭스 속의 인간들과 꿈속의 장자와 동굴 속의 인간들이 모두 같다고 할 수 있다. 모두가 실재가 무엇인지를 모르고 살고 있는 것이다.

 

데카르트와도 비슷하다. 모든 것을 허상이라고 의심했던 데카르트. 그야말로 이 세상이 매트릭스에 불과하다는 가정을 한 최초의 철학자일 것이다. 아니 최초는 아니다. 그 이전에도 그런 가정을 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이 누구인지는 잠시 뒤에 보자.

 

매트릭스에서 벗어나기

만약 정말로 우리가 사는 우주가 매트릭스일 뿐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것을 깨닫고 빨간약을 먹으면 매트릭스를 벗어날 수 있을까?

 

영화에서는 빨간약을 먹으면 매트릭스를 벗어난다. 그러나 현실에서도 그렇까? 정말 AI가 만든 매트릭스 세상이라면 그럴지 모르겠다. 그러나 AI가 만든 것이 아니라 신이 혹은 어떤 우주의 지성이 만든 것이라면 빨간약으로 매트릭스를 벗어나기는 힘들 것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매트릭스일 것이라 생각한 사람들이 아주 오래전에도 있었다. 석가모니가 그렇고 예수가 그렇고 대부분의 종교 창시자들이 그랬다.

 

그래서 그들은 매트릭스를 벗어나라고 가르쳤다. 이를 위해 자신을 따르라고 했다.

 

 

 

석가모니는 참선과 수양을 통해 인연을 벗어나면 매트릭스를 벗어날 수 있다고 했다. 그것이 일명 불가의 해탈이다. 얽혀 있는 인연은 영화 속 매트릭스 같다. 상황들이 서로 연관되어 이어지는 매트릭스와 서로 간에 붙잡고 놓지 않는 사람들 간의 인연이 비슷하지 않은가?

 

그래서 불가에서는 해탈(매트릭스에서 탈출)하려면 먼저 모든 인연을 끊으라고 한다. 속세의 모든 인연을 끊고 산속에서 경전을 외우고 참선을 하면 매트릭스를 벗어나게 된다고 한다. 그것은 그러한 공부를 통하여 우주의 구조를 파악한다는 것이 아닐까? 구조를 파악하여 이해하게 되면 더 이상 그 구조에 얽매이지 않게 된다. 모르니 붙잡혀 있는 것이다. 알고 나면 자유로울 수 있다.

 

수학 공식을 이해하지 못하면 그 문제에 얽매이게 된다. 풀리지 않는다. 그러나 공식을 이해하게 되면 그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

 

예수가 전파한 기독교는 어떤가? 기독교에서는 그런 방법이나 수양법으로는 매트릭스를 벗어날 수 없다고 한다. 거기서 벗어나는 방법은 매트릭스를 만든 존재에게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새장 속의 새가 새장의 구조를 깨닫게 된다고 해서 새장을 나갈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새가 자유로워지려면 새장의 주인이 새장 문을 열어주어야 한다. 즉 위로부터의 은혜가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 기독교의 입장이다.

 

그래서 종교는 철학과 비슷하면서도 그 태생이 다르다. 철학은 매트릭스의 구조를 이해하려는 노력이고, 종교는 매트릭스를 벗어나려는 노력이다. 그 근본이 다르다.

 

실재하기

매트릭스가 실재하지 않는다 해도 세상과 우주의 법칙이란 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우주가 존재하는 자체가 무언가 법칙이 있어 그 법칙 안에서 행성들이 존재한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 법칙에서 벗어난 행성은 충돌하여 사라졌을 것이다.

 

그런 물리적 법칙이 존재한다면 삶의 법칙도 존재하지 않을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그런 가정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자신의 매트릭스를 벗어나고자 공부를 하고 자격증을 딴다. 투잡을 하고 투자를 한다.

 

영화에서 그리는 매트릭스는 아니더라도 자신의 인생을 붙잡고 있는 매트릭스는 있을 것이다. 그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해 인생의 변화가 없고 발전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나름의 노력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게 보면 종교적으로 큰 뜻이 있는 사람은 별개로 하고 보통의 우리들에게는 매트릭스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노력한다는 자체가 중요해진다. 매트릭스가 존재하건 안 하건 우리는 노력해야 한다. 그것이 어떤 한계 내에서 꿈쩍 못하고 있는 자신의 삶을 구하는 빨간약이다. 비록 새장 안에 갇혀 있다 해도 끊임없이 날갯짓을 하는 한 새는 살아 있는 것이다. 내가 인간이든 나비이든 날개짓을 하는 한 나는 엄연히 존재하는 실재인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