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에 해당하는 글 2

행복이 목적일까?

생각하는 글|2021. 9. 20. 12:46
반응형

행복이 목적이 될 수 있을까?

아니다. 행복이 목적이 되면 안 된다.

 

사랑으로 생각해 보자.

행복이 목적이 되면 자신의 행복을 위해 사랑을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자칫 카사노바나 제비족이 될 수 있다.

좀 더 큰 행복, 좀 더 새로운 행복을 위해 새로운 사랑을 찾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행복은 목적이 되선 안 된다.

행복해 지기 위해 무언가를 추구하는 건 신기루를 쫓는 행동일 수 있다.

 

 

 

그러면 행복은 무엇인가?

행복은 부산물이다. 

어느 가치 있는 행동을 할 때 얻어지는 부산물이다.

 

그러면 가치 있는 행동은 무엇인가?

그것은 결국 이타적인 행동이 될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물론 이타적인 행동으로 인해 꼭 행복해지는 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이타적인 행동으로 인해 얻어지는 행복은 지속력이 있다.

개인적 행복감에 더해 자긍심으로 인해

행복은 더 커지고 지속력이 있게 된다.

 

이타적인 행동이건 다른 행동이건

가치 있는 꾸준한 행동으로 인해 얻어지는 것이 행복이다.

행복은 가치 있는 행동에 의한 부산물인 것이다.

 

행복을 목적으로 할 게 아니라

가치 있는 행동, 즉 가치 있는 삶을 목표로 해야 한다.

물론 가치 있는 삶에 대한 정의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그러나 큰 틀에서 가치 있는 행동이란 결국 이타적인 행동이다.

이타가 클수록 개인은 작아진다.

그래서 가장 큰 이타는 희생이다.

 

"행복은 쾌락이 아니라

의미 있는 삶에 따르는 부산물이다."

- 니코마코스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 -

반응형

'생각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기언이 과기행  (0) 2021.09.24
냉천동 산동네  (0) 2021.09.19
인면암  (0) 2021.09.17
지피지기 백전백승?  (0) 2021.09.16
가을, 꽃, 벌  (0) 2021.09.11

댓글()

에피쿠로스 학파는 쾌락주의가 아니다.

생각하는 글|2021. 7. 11. 22:49
반응형

쾌락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아마 대부분 부정적인 이미지가 떠오를 것이다. 쾌락이라 하면 주어진 의무나 인격과는 상반되는 자기 이익과 말초적 만족을 추구하는 것으로 비치기 때문이다. 사실 쾌락을 좇아 사는 사람을 칭찬할 수 없다. 그 한 사람 때문에 주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할 수 있고 사회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건전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라면 쾌락을 추구하는 사람을 좋은 삶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여기 쾌락주의라는 고대 그리스 학파가 있다. 그러면 그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쾌락에 몰두하며 살았을까?

 

고대 그리스의 쾌락주의라 하면 에피쿠로스 학파를 지칭한다. 에피쿠로스. 고대 그리스에서 쾌락주의를 창시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300년대를 살았던 인물로 원자론을 설파했던 데모크리토스 밑에서 공부한 적이 있다. 그가 말한 쾌락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쾌락이 아니었다. 그가 말하는 쾌락은 그런 쾌락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가 말하는 쾌락은 정신적인 안정이다. 세상은 둘로 나뉜다. 기쁨 아니면 고통, 즐거움 아니면 슬픔 등등이다. 그가 살았던 시대도 지금처럼 팍팍했나 보다. 하긴 언제 그렇지 않은 시대가 있었으랴. 그런 세상에서 불행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는 인간의 감정을 둘로 고통 아니면 쾌락으로 보았다. 그래서 고통을 피하는 것이 행복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면 어떻게 고통을 피할 수 있을까? 그는 욕심을 버리라고 했다. 욕심을 버리면 고통도 줄어든다. 

 

가난한 사람은 백만 원만 있어도 행복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백만 원이 생기면 또 욕심이 생긴다. 그러니 욕심을 없애는 것이 고통을 줄이고 행복에 이르는 길이다. 이런 정신적 행복의 상태를 쾌락이라 한 것이다. 그러니 엄밀하게 그의 철학을 쾌락주의라 할 수 없다. 정신적인 행복 추구를 했을 뿐, 결코 우리가 말하는 말초적 쾌락을 염두에 둔 철학이 아니다.

 

이런 이유로 그는 무소유를 주장했다. 그는 "물과 빵만 있으면 신도 부럽지 않다."라고 말했을 정도다. 이런 그의 사상을 어떻게 쾌락주의라 할 수 있겠는가? 

 

이런 사상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계속 이어지고 있다. 스토아 철학도 이른바 금욕주의라 하지 않는가? 우주 이성에 의지한 삶을 추구한 스토아 철학도 결국 정신적인 안정, 행복을 추구한 것이다.

 

동양에서도 비슷하다. 공자의 유학과 노자의 도가는 결국 정신적인 안정을 추구한다. 특히나 도가는 자연 상태를 최고로 치며 물질적인 것에 얽매이지 말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런 사상을 경쟁 사회인 현대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사는 사람들도 아직 많이 있다. '나는 자연인이다.'라는 tv 프로그램에 나오는 사람들도 그런 사람들이지 않겠는가?

 

욕심을 훌훌 털어버리고 자족하며 사는 삶이 에피쿠로스가 추구한 삶이다. 그의 철학은 결코 말초적 쾌락 추구가 아니었다. 에피쿠로스 학파는 쾌락주의가 아니다. 오히려 무한 경재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일수록 음미해야 할 사상이지 않을까? 그래야 인간성을 지키며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