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메니데스 있는 건 있고 없는 건 없다.

생각하는 글|2021. 7. 13. 22:43
반응형

신비의 사상가 파르메니데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중에 가장 유명한 사람은 단연 소크라테스다. 그의 뒤를 이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제자들이 연이어 나타난다. 그걸 보면 소크라테스는 참 행복한 사람이었다. 맹자는 군자삼락의 하나로 득천하영재이교육지라고 했다. 영특한 인재를 얻어 가르치는 것이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중 하나라 한 것이다.

 

그런데 서양 철학은 플라톤 철학의 주석이다라는 말까지 생기게 한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다. 그리고 플라톤의 제자는 아리스토텔레스였다. 이러니 소크라테스는 정말 행복한 사람이었다.(비록 독배를 마시고 죽었지만)

 

파르메니데스

 

이처럼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은 소크라테스라는 데 이견을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가장 신비로운 사람을 들라면 소크라테스가 아닌 파르메니데스(Parmenides)를 꼽을 사람이 많을 것이다. 물론 헤라클레이토스나 피타고라스 등도 신비한 사상가 축에 들 수는 있으나 그래도 신비함으로 따지면 파르메니데스가 한 수위다.

 

왜 그럴까? 그가 어떤 말을 했길래 그를 신비의 철학가로 만들었을까?

 

있는 건 있고 없는 건 없다.

그는 '있는 건 있고 없는 건 없다.'라는 말을 남겼다. 그의 사상에 대해 아는 건 별로 없는데 위의 말을 남겼다는 것은 안다. 하도 유명한 말이기 때문이다. 그와 동시대의 인물로 헤라클레이토스가 있다. 그는 모든 것은 변한다는 이른바 만물 유전설을 주장했다. 그의 비유 중 대표적인 비유가 강물의 비유다. 오늘의 강물은 어제의 강물이 아니라는 그 말이다. 이를 그는 똑같은 강물에 두 번 들어갈 수 없다고 표현했다. 오늘의 강물은 어제 흐르던 물이 아닌 상류에서 내려온 다른 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강물에 두 번 들어갈 수 없다고 헸다. 즉 모든 것은 변하고 정지해 있는 것은 없다는 말이다.

 

파르메니데스는 이 말과는 반대의 말을 하는 것이다. 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다는 말은 결국 변하는 것은 없다는 말이다. 있는 것이 다른 것으로 변화된다면 그건 있는 것이 없어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물이 수증기가 되었다 해도 여전히 물의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의 말이다.

 

있음이 없음이 될 수 없고 없음이 있음으로 될 수 없다. 그래서 그는 빈 공간이란 없다고 했다. 빈 공간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 책상 위의 연필과 노트는 그 사이에 빈 공간이 있기에 각기 존재할 수 있다. 빈 공간이 없다면 둘은 하나가 된다. 나누어져 있을 수 없다.

 

그래서 그는 모든 만물은 결국 하나라고 했다. 여기서 일자()라는 말이 나온다. 모든 것을 통일하는 것은 일자라는 말이다. 하나에서 모든 것이 나온다. 모든 것은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빈 공간은 없으니 모든 것은 하나가 될 수밖에 없지 않은가?

 

그런데 우리 눈에는 분명 만물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계절이 변함에 따라 눈이 내리고 얼음이 얼고 그것이 녹아 물이 되고 또 초록잎이 빨간 잎으로 변하기도 한다. 어린아이가 어른이 된다.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은 변하고 있다. 그런데 왜 파르메니데스는 변하는 것은 없다고 했는가?

 

이데아의 세계

여기에서 그가 말하는 일자는 물리적인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것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눈에 보이지 않으나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일자의 개념이다. 있는 것은 없는 것이 될 수 없다. 있음과 없음은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있는 것은 존재하는 것이고, 없다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니 있는 것이 없는 것으로 될 수는 없다.

 

그런데 눈에 보이는 것은 변하고 사라지고를 반복하니 파르메니데스의 말은 눈에 보이는 물리적인 것이 아닌 정신적 차원의 이야기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영원한 존재. 어디서 비슷한 말을 들어 본 것 같지 않은가? 우리 눈에는 보이지도 측량할 수도 없지만 분명 존재하면서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 그것이야말로 가장 이상적인 것이다. 이상적인 것을 영어로 하면 이데아적이라는 단어를 쓸 수 있다. 이것은 플라톤의 주장이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이 파르메니데스의 말과 비슷하다. 결국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은 그의 스승 소크라테스는 물론 파르메니데스의 영향도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말도 되지 않는 뚱딴지같은 소리다. 변하는 것은 없다니 말이다.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변하고 있는데 어찌 그런 바보 같은 말을 할 수 있을까?

 

 

일자가 주는 위안

그러나 다시 생각해 보자. 모든 것이 변한다면 우리의 희망은 어디에 있는가? 좋은 것으로 변해서 나의 인생을 좋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변한다는 것이다. 내가 오랜 세월 열심히 일해서 성공했다면 좋기만 할까? 그 세월, 지나버린 그 세월은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노년의 성공과 교환하기에 젊음은 너무나 소중하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서산에 지는 노을이고, 가장 아름다운 시간은 젊음의 시간이기 때문이다.

 

변하는 것만 있다면 우리는 허무할 수 있다. 나의 아내도 나의 자식도 나의 부모님도 나의 친구도 모두가 다 사라진다. 허상일 뿐이다. 그런데 어찌 즐거울 수 있을까?

 

비록 눈에 보이지 않지만 진정한 실재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 눈에 보이는 우리의 모습은 변하지만 우리가 그 안에 속해 있는 참 존재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 그것은 위안이다. 그 존재가 있음으로 해서 눈에 보이는 우리는 변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우리의 참 존재는 변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야 말로 위안이다. 존재의 위아이다.

 

그렇기에 파르메니데스는 혼자서 중얼거리는 이상한 할아버지가 아니라 2천5백 년이 지난 지금도 추앙받고 있는 철학자인 것이다. 이러한 그의 사상이 플라톤에게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해 보인다. 둘의 이론이 비슷한 데가 많기 때문이다. 

 

있는 건 있고 없는 건 없다. 당연한 말 같지만 속을 보면 말도 안 되는 이야기로 들린다. 하지만 그의 가시적 세계 너머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추구와 확신은 플라톤뿐 아니라 지금도 많은 위안과 길을 제시해 주고 있다.

반응형

댓글()

아킬레스와 거북이 - 아킬레스는 거북이를 이길 수 없다.

생각하는 글|2021. 7. 8. 22:14
반응형

아킬레스가 누군가? 마라톤 선수이자 레전드 전사였다. 그 유명한 트로이 전쟁을 승리로 이끈 장군이다.

 

그렇게 용맹하게 전장을 뛰어다니고 마라톤 선수이기도 했던 아킬레스는 자기 앞에서 기어가는 거북이를 네버 네버, 결코 결코 따라잡을 수 없다.

 

 

 

 

아킬레스와 거북이의 달리기 경주

이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란 말인가? 물론 말이 안 된다. 그런데 들어보면 또 그럴 것도 같다. 분명 아닌데 콕 집어서 오류를 잡아낼 수도 없다. 왜 그런지 궁금하면 500원, 아니 아래를 읽어보라.

 

아킬레스와 거북이가 달리기 시합을 한다. 토끼도 아니고 아킬레스다. 거북이가 어떻게 그를 이길 수 있단 말인가? 그러나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보라.

 

거북이는 달리지를 못하는 데다 걸음마저 느리니 아킬레스보다 앞에서 출발을 시키자. 그보다 100미터 앞에서 출발한다고 가정해 보자. 경기를 알리는 총소리가 나면 아킬레스는 열심히 뛸 것이다. 우사인 볼트는 100미터를 9초 58로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아킬레스는 우사인 볼트보다 빠르면 빨랐지 결코 느리지 않을 것이다, 그런 그가 열심히 달리니 금방 거북이 뒤에 바짝 따라붙는다.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잘 들어 보라.

 

 

 

거북이를 따라잡지 못하는 이유

자, 생각해 보자.

아킬레스가 자기보다 100미터 앞에 있는 거북이를 쫓아갈 동안 거북이라고 가만히 있었을까? 아니다. 다만 1미터라도 전진했을 것이다. 여기서부터 생각의 흐름을 잘 따라가 보자. 

 

아킬레스가 100미터를 달려갈 동안 거북이는 1미터를 나갔다.

그리고 아킬레스가 다시 거북이를 향해 1미터를 나갔을 때 거북이는 10cm를 나갔다.

이어 아킬레스가 거북이를 9cm 쫓아갔을 때 거북이는 1cm를 나갔다.

아킬레스가 9mm를 쫓아갔을 때 거북이는 1mm를 나갔다.

...

 

이렇게 둘은 무한히 가까워질 뿐 아킬레스는 결코 거북이를 앞서 나갈 수가 없다. 둘의 간격이 점점 더 무한히 가까워질 뿐 아킬레스가 거북이를 앞서 나갈 수는 없는 것이다. 아킬레스가 앞으로 나가면 그의 앞에 있는 거북이는 조금이라도 그보다 앞서 전진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둘은 무한히 가까워질지언정 아킬레스 거북이를 앞서 갈 수는 없는 것이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가 맞다. 그러나 명쾌하게 왜 말이 안 되는지 설명해 보시라! 

 

 

 

화살은 날아가는 것이 아니다

이것을 말한 이는 '제논'이라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다. 그는 기원전 400년 대에 살던 철학자로 파르메니데스의 제자였다. 그는 아킬레스와 거북이 역설 말고도 몇 개의 역설을 더 제시했다. 그중에 재밌는 하나를 더 보자. 바로 화살의 역설이다. 일명 '화살은 날아가는 것이 아니다. 정지의 연속일 뿐이다'라는 것이다.

 

우리 눈에는 분명 화살은 날아가고 있다. 그러나 제논은 결코 그렇지 않다고 한다. 왜 일까?

화살은 한 지점에서 다음 지점으로 그리고 또 다음 지점으로 연이어 있는 것이다. 즉 그 순간순간 각 지점에 있는 것이지 날아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또한 말이 안 되는 말이다. 그런데 그럴싸하지 않은가? 물론 그의 역설(Paradox)은 이후에 과학적 지식이 축적되어 감에 따라 논파되었다. 그러나 오랜 세월 그의 역설을 가지고 이렇게 저렇게 틀렸다고 증명해 왔다. 심지어 20세기를 살았던 버트란트 러셀도 그의 논리가 잘못됐음을 증명하려 노력했다. 즉 말도 안 되는 이야기지만 2천 년 넘게 그의 이야기가 틀렸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땀을 흘렸던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제논의 승리가 아닐까?

 

말이 안 되는 것을 말해야 하는 세상

세상엔 말이 안 되는 말이 참 많다. 문제는 말이 안 되지만 그냥 두면 말이 되기에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애초 말이 안 되는 것을 되는 말로 오류를 제시하려니 이 또한 말이 안 된다. 참이 거짓을 거짓이라 증명하려니 피곤한 것이다. 그런데 거짓이 거짓임이 증명되면 거짓이 사라질까?

 

참이란 무엇인가? 어떤 논제가 사실로 증명되었다는 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거짓이 거짓으로 증명되었다면 이 또한 참이 아닌가? 그러면 거짓으로 증명된 거짓은 참인가 거짓인가? 아리송하다???

 

이래서 세상엔 이해하기 힘들고 말도 안 되는 일들이 버젓이 일어나는 가 보다. 그런 일일수록 교묘해서 틀렸음을 알아채지도 못한다. 알아채지 못하면 당하는 것이다. 뭔가 기분상으론 이상한데 반박할 수 없어 그냥 눈 뜨고 당하는 일도 일어난다. 말이 안 되는 것을 말이 안 된다고 말하는 자체가 말이 안 된다. 말이 안 되는 것이 아니라 말이 되는 말만 있는 세상이 되길...

반응형

댓글()